어렸을적 자신감이 넘치던 아이가 성장하면서 자신감을 잃어가게 된다. 타인의 시선을 지나치게 신경쓰며 불안해 한다. 누구나 이런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무석교수의 '자존감'은 이러한 경험이 있는 자들에게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주요내용
이무석 교수는 이 책에서 자존감과 열등감의 관계, 그리고 이들이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자존감이 외적 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외모나 학벌, 재력 등이 뛰어나다고 해서 반드시 높은 자존감을 가지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오히려 이무석 교수는 자존감이 "자신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비롯된다고 강조한다. 이는 우리에게 희망을 주는 내용일 수 있다. 우리의 외적 조건을 바꾸기는 어렵지만, 자신을 바라보는 관점은 우리가 노력하면 얼마든지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자존감과 열등감은 객관적 조건의 문제가 아니라 자신을 바라보는 관점의 문제라고 설명한다. 같은 상황에서도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당당하게 대처할 수 있지만, 열등감이 있는 사람은 수치심을 느낄 수 있다. 책에서는 이를 극복한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서 독자들로 하여금 열등감이 아닌 자존감을 갖도록 도와준다.
밑줄모음
자존감(self-esteem)이란 자신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다. 사람들은 두 가지 면에서 자신을 평가한다. 첫째는 자기 가치감(self-worth)이다. 이는 ‘나는 가치 있는 사람(valuable person)이다.’ ‘나는 남에게 호감을 주는 사람이고 사랑받을 만한 사람이다.’라고 평가할 때 일어나는 감정이다...(중략)...자존감의 두 번째 요소는 자신감(self-confidence)이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나는 유능한 사람(capable person)이다. 내게 맡겨진 일을 잘 해낼 수 있다.’고 믿는다 - < 자존감, 이무석 지음 > 중에서
하나는 실제적 현실(actual reality)이다. 객관적 현실이다...(중략)...다른 하나는 심리적 현실(psychic reality)이다. 마음이 만들어 낸 주관적 현실이다. 그런데 사람의 마음을 지배하는 것은 실제적 현실이 아니고 심리적 현실이다. - < 자존감, 이무석 지음 > 중에서
이제 그만!” 나를 싫어하는 사람은 그냥 싫어하게 놔두자. 상황이 바뀌거나 그의 생각이 달라지면 사과하고 돌아올 수도 있다. 그의 감정은 그에게 맡기고 우리는 우리의 인생을 부족하지만 사랑하며 살자. 스타에게는 박수를 보내 주고 우리는 우리에게 주어진 우리 인생을 살자 - < 자존감, 이무석 지음 > 중에서
내 말을 기분 나쁘게 듣지 말기 바란다. 열등감을 치유할 때 꼭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기 때문에 이렇게 말할 수밖에 없는 심정을 이해해 주기 바란다. 자신의 선택에 대한 책임은 자신이 져야 한다. 물론 억울하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자신의 책임을 인정하기 전까지는 열등감을 치료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남을 탓하는 것만으로 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 < 자존감, 이무석 지음 > 중에서
개인평점 3 / 5
이무석 교수의 '자존감'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열등감에 대한 설명이다. 우리 모두는 크고 작은 열등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이 열등감이 우리의 삶을 지배할 때 발생한다. 책에서는 다양한 열등감의 유형과 그 극복 방법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외모 열등감, 집안 열등감, 능력 열등감 등 우리가 흔히 가질 수 있는 열등감에 대해서 다루고 실제 사례들을 소개한다. 이러한 열등감들이 대부분 과거의 경험이나 왜곡된 자기 인식에서 비롯된다고 말한다. 책에서는 이런 열등감을 버리고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한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기 이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종종 자신의 감정이나 행동의 이유를 모른 채 살아가는데 진정한 자존감 회복은 자신을 깊이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된다고 말한다. 또한, 이무석 교수는 '자기 수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우리는 완벽할 수 없다. 그러나 그 불완전함을 인정하고 받아들일 때, 오히려 더 강해질 수 있다.
이무석 교수의 '자존감'은 단순히 자신을 사랑하라는 메시지를 전하는 책은 아니다. 이 책은 우리 내면의 깊은 곳을 들여다보고, 진정한 자아를 발견하도록 돕는다. 자존감은 우리 삶의 나침반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높은 자존감은 우리가 삶의 폭풍 속에서도 방향을 잃지 않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다만, 책에서 다루어지는 사례가 특별하지는 않았다는 점과 해결 과정이 너무 요약적으로 기록되어있는 것 같아 깊은 공감을 얻지 못하는 부분도 있었다. 이 부분이 조금 아쉬웠다. 하지만 열등감으로 인해 자신을 의심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좋은 책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좋은 책이다.
아기를 위해서 모든 희생을 감내한다.
아이가 소중하고 사랑스럽기 때문이다.
그렇게 우리도 아기 때는 소중한 존재였다.
조건과 관계없이.
-<자존감, 이무석 지음> 중에서
댓글